책 읽기

인생의 중반, 장자와 함께 찾는 내면의 자유

오십이 넘어 퇴직이 가까워오니 옛 선인의 고전이 삶의 이정표가 되어준다.

 

이미 옛 고전 선인들은 나름의 오십을 지나왔을 것이며 오십에서의 마음가짐과 행동에 대해서 자신이 겪어왔던 이야기를 철학적으로 정리해 놨다.
“오십에 읽는 장자” 또한 글쓴이가 장자를 읽으면서 자신의 오십대에 대한 생각과 지나온 과거에 대해서 겪어왔던 이야기를 장자의 사상과 더불어 잘 풀어놨다.

 

오십이 넘어감에 따라 독서의 중요성이 새삼 중요하다는 사실과 이런 인문 고전을 읽지 않으면 과거의 잘못된 자신만의 아집과 독선에 빠질 위험성이 커진다.

 

늙으면 고집이 새어진다는 말은 과거의 자신의 경험만을 바탕으로 자신의 고착화된 생각에 매몰되어 타인의 말을 듣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타인의 생각에 대한 고집은 세면서 정작 자신은 다단계나 사기꾼에게 쉽게 넘어가는 것도 의외인 것이다.

 

“오십에 읽는 장자”를 읽었다고 해서 장자의 사상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단지 오십에는 세상을 이렇게 살아나아갸 된다는 하나의 마음가짐을 알려주는 책이다.

 

오십의 나이를 지천명이라 하지 않았나. 불혹의 나이를 지나 오십이면 이제는 하늘의 명을 이행하는 마음을 가져야 할 것이다.

 

지금은 하늘의 명은 무엇인가? 바로 윤석열 퇴진이다.

오십에 읽는 장자

오십부터는 과거의 나를 버려야 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