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가치와 현실 사이 : 예술인 소득이 낮은 구조적 문제점
예술 분야는 가정 형편이 풍족하지 않으면 다가서기 어려운 분야입니다.
자식의 재능이 뛰어나다고 해도 경쟁이 심한 분야입니다.
주위에 물어보면 10명 중에 9명은 예술 분야는 웬만하면 시키지 않는 게 좋다고 이야기들 합니다.
공부를 하는 비용도 크지만 대학을 졸업하고 예술 분야에서 독보적인 재능이 없으면 쉽게 성공하기도 어려운 분야입니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의 예술인들의 개인소득을 보면 예술창작활동을 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알 수 있습니다.
예술인들의 소득이 낮은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그 이유는 복합적입니다.
불안정한 고용 구조
예술계의 고용 형태는 본질적으로 불안정합니다.
대부분의 예술인들은 프리랜서나 계약직으로 일하며, 안정적인 정규직 일자리를 찾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고용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합니다.
-
단기 계약의 반복 : 프로젝트 기반의 단속적 고용으로 인해 지속적인 수입을 얻기 어렵습니다.
-
실업 기간의 증가 : 프로젝트 사이의 공백 기간 동안 소득이 없거나 매우 적습니다.
-
사회보장 혜택 부족 : 정규직에 비해 건강보험, 연금 등의 혜택을 받기 어렵습니다.
예술 시장의 구조적 문제
예술 시장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도 예술인들의 저소득에 기여합니다.
-
승자독식 현상 : 소수의 유명 예술인들이 대부분의 수익을 차지하는 반면, 나머지 대다수는 매우 낮은 소득을 얻습니다.
-
시장 규모의 한계 : 예술 시장 자체가 영세하여 전반적인 소득 수준이 낮습니다.
-
가치 평가의 어려움 : 예술 작품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워 적정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책적 지원의 부족
정부와 사회의 지원 부족도 예술인들의 저소득 문제를 악화시킵니다.
-
불충분한 복지 제도 : 예술인을 위한 특화된 사회보장 제도가 미비합니다.
-
지원 정책의 한계 : 현재의 지원 정책들이 예술인들의 실질적인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
예술 교육의 불균형 : 예술 공급자는 늘어나지만 수요는 이에 미치지 못해 소득 불균형이 심화됩니다.
예술 활동의 특성
예술 활동 자체의 특성도 저소득의 원인이 됩니다.
-
불규칙한 수입 : 작품 판매나 공연 수익이 일정하지 않아 안정적인 소득을 얻기 어렵습니다.
-
준비 기간의 무보수 : 작품 준비나 연습 기간 동안의 노동에 대한 보상이 거의 없습니다.
-
다중 작업 필요성 : 예술 활동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워 부업을 병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술인들의 저소득 문제는 단순히 개인의 능력 부족이 아닌 복합적인 사회경제적 요인들의 결과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술 시장의 구조적 개선,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 정책, 그리고 예술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