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지방부동산 살리기로 취득세 중과 완화

정부의 지방부동산 살리기 정책의 일환으로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 중과 기준이 기존 공시지가 1억 이하에서 2억으로 완화되었다.

 

지방의 공시지가 1억 이하 아파트는 대부분이 노후화된 아파트이거나 비인기 아파트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지방부동산이라고 했는데 광역시도 포함이 되는지는 모르지만 일단의 지켜봐야 할 사항이다.)

 

지방의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에 지방 부동산에 투자하라는 정부의 시그널이 아닐까 싶다.

 

현재 지방 부동산 경기가 몇 년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공시지가 2억 이하로 상향이 되더라도 투자의 불씨가 살아날지는 의문이다.
하지만 수도권 부동산의 대출규제가 심해지고 가격이 오른 상태에서 투자가치가 있는지를 살펴봐야 할 것이다.
문재인 정부 때에는 부동산 규제로 인하여 투자처를 찾지 못하는 다주택자들이 대거 공시지가 1억 이하 지방 아파트에 투자를 해서 한 때는 투기 바람이 불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공시지가 1억 이하의 아파트들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공시지가 2억 이하의 아파트면 실제 가격은 3억 정도까지 예상해 볼 수 있는데, 이 가격의 아파트가 투자 가치가 있는지 살펴봐야 할 것이다.

 

2025년도에는 경기 침체로 인한 기준 금리 인하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년 4회 금리 인하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지방 부동산의 경우에도 고환율, 고금리로 인한 건설 경기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 입주 물량과 분양 불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부동산 시세도 매매가는 하락하고 있지만 전세가가 점점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부동산 분위기는 어떻게 흘러갈지 모른다.

 

현재의 탄핵 정국이 끝나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다면 경기 부양책에 나올 것이 확실함으로 2025년은 투자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부동산원 부동산 시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