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대통령이 보내는 주식시장 투자 시그널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주식시장이 3100을 넘어서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내란사태 이후 불확성이 제거되고 새로운 정부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식시장이 연일 강세를 보이고 있다.
유동성 지표라고 할 수 있는 고객예탁금도 70조 가까이 증가하는 등 증시에 대한 우호적인 환경이 연출 되고 있다.
상법 부분 개정안도 국회에서 처리되었고 주주에 대한 권한 강화도 법적으로 제도화 되고 있다.
모든 것이 장미빛으로 물들고 주식시장이 강세장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대통령이 보내는 주식시장 투자 시그널

 

경제적으로는 물가상승률이 높고 경기 침체가 진행되고 있어서 경제 지표가 상승으로 전환되는 신호는 없다.
오히려 경기 침체로 인한 정부의 재정 정책과 금리 인하로 돈 풀기 정책이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유동성을 시장에 투입함으로써 침체된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경기를 살리려는 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아울러 부동산에 집중된 투자 자금을 주식시장으로 전환함으로써 자본 순환을 통한 경기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부동산 시장이 연일 강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이재명 정부는 신속하고 강력한 금융 규제를 내놓았다.
수도권 부동산 투자를 막기 위한 대출 규제에 들어간 것이다.
수도권 부동산에 집중된 대출 자금을 주식 시장으로 돌리고 부동산 가격을 안정 시키겠다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아쉬운 점은 지방 부동산에 대한 활성화 대책은 나오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입에서도 부동산에 관한 우려와 더불어 주식 시장 활성화를 통해서 국민의 삶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통령이 증권거래소를 방문하고 임기 내 코스피 5,000의 시대를 정책으로 제시하며 상법 개정 등의 시그널을 보내고 있다.
주식 시장에 대한 어떤 정책이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상법 개정과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주주우선정책을 실시할 것은 명백하다.
앞으로 주식시장은 국민 모두가 배당으로 생활이 가능하고 배당소득세 감면 등을 통해서 경제 선순환을 마련할 것이다.
부동산 투자에 집중된 투자 인식이 변화가 생길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주식시장이 밝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미국 주식시장의 개미들을 국내 주식시장으로 돌아오기 위한 다양한 정책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한국 증시 전망

 

이재명 대통령이 보내는 시그널은 명확한 것 같다.

부동산 투자에 집중된 자금을 주식 시장으로 돌려서 경제적 이익을 함께 취하도록 하는 정책을 시도할 것이다.
경기 선행 지표라 불리는 주식시장이 과연 내년에는 얼마나 선순환의 효과를 보여줄 지 모르겠지만 상승 기대감을 가득하다.
실제로 이재명 정부 임기 내에 코스피 5,000에 도달할 가능성도 있다.
문제는 경제를 살리기 위한 유동성의 증가로 인하여 물가 상승과 자산 가격의 상승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재 상태에서는 경제가 활성화되고 민생이 안정되는 것은 필요하지만 이후에는 어떠한 대가를 치러야 할 지 모르겠다.

 

자본주의 시장은 자본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